전체

[Javascript] setInterval, clearInterval setInterval 은 일정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무언가를 행할 때 사용되며, clearInterval은 이것을 중지할 때 사용한다. 한번만 실행할 것이라면 timeout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 시간 단위: ms // 3초마다 "안녕" 문구 출력 const polling = setInterval(() => { console.log("안녕"); }, 3000); // 중지 clearInterval(polling) clearInterval : www.w3schools.com/jsref/met_win_clearinterval.asp setInterval : www.w3schools.com/jsref/met_win_setinterval.as..
· WEB/Vue.js
[Vuejs][VScode] 'v-slot' directive doesn't support any modifier. [vue/valid-v-slot] 'v-slot' directive doesn't support any modifier. eslint-plugin-vue 👍 해결방법 .vscode/settings.json 파일에 아래 옵션을 추가해 주면 된다. // .vscode/settings.json { "vetur.validation.template": false } [참고] https://gitmemory.com/issue/vuejs/eslint-plugin-vue/1269/668921391
· WEB/Node.js
[Node.js] yarn에서 npm으로 변환하기 1. yarn.lock 파일 삭제 2. node_modules/ 폴더 삭제 3. package.json 에서 yarn 명령어 사용하는 부분이 존재하면 npm 으로 변경 4. install $ npm install 참고: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51239726/react-native-switch-from-yarn-to-npm
· Linux
[Linux] 포트(port) 찾아서 죽이기 1. 서비스를 죽이려는 주소의 PID 값을 찾는다. -a -o 옵션을 추가해주면 PID 값을 알 수 있다. $ netstat -a -o 2. PID 값으로 작업을 중지시킨다. $ taskkill /F /PID {포트번호}
· WEB/HTML
contenteditable 👍 contenteditable 사용자가 요소를 편집할 수 있게 하는 옵션이다. HTML 태그를 입력하더라도 vue의 v-html과는 달리 문자열 그대로 표시한다.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Global_attributes/contenteditable true: 편집 가능 / false: 편집 불가능 ex) textarea 의 값만 표기하고, 변경 불가능하게 할 경우 contenteditable = false disabled 예) textarea 에 입력한 값을 div 에 표시 (vuejs) {{ contents }} contenteditable에 css 속성 적용 // .scss div[contenteditable] ..
· WEB/Vue.js
v-html 👍 v-html vue에서 html 그대로 적용시킬 경우, v-html 옵션을 이용해서 적용 가능하다. ex) TextEditor(quill)에서 입력한 내용을 표시할 때, 값을 html 로 반환하기 때문에 html을 그대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v-html을 이용한다. vue에서 v-html사용 시 XSS 공격 예방을 위해 eslint 에서 경고(warning)를 발생한다. 경고를 없애기 위해서는 코드 최상단에 아래 코드를 추가해주면 된다. 참고: https://github.com/vuejs/eslint-plugin-vue/issues/260
S0PH1A
'분류 전체보기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5 Pag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