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Electron] 빌드(build) 하기 2 ( electron-builder ) 이전 글 `[Electron] 빌드(build) 하기 ( electron-builder )`에 정보를 조금 더 추가한 글입니다. mac사용자를 위해 osx 빌드가 필요했고, 관련해서 찾아보았습니다. 다행히 한글로된 글이 존재했고, 해당 글을 따라 했습니다. (출처) * 사용 방법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package.json을 수정해줍니다. 이번에는 각 요소에 대한 설명을 하진 않겠습니다. 필요하다면 이전 글을 참고해 주세요. { ... "scripts": { ... "build": "electron-builder build", "build:osx": "build --mac", "build:win32": "build --w..
WEB
[Electron] ProgressBar 사용하기 (부제: electron-progressbar) Electron에서 TaskBar에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. setProgressBar를 이용하면 된다. setProgressBar의 값은 0~1사이의 퍼센트 값을 이용한다. 예를 들어, 63%는 0.63을 입력하면 된다. 그리고, 0보다 낮은 값(-1)으로 설정하면 진행 상태가 제거되고, 1보다 높은 값(2)를 설정하면 진행 상태가 중간 모드로 변경된다. const { BrowserWindow } = require('electron') const win = new BrowserWindow() // ex) 50% win.setProgressBar(0.5) 하지만, 어플리케이션 자체에도 진행바를 나..
[Electron] crashReporter 윈격 서버에 애플리케이션 오류 보고를 자동으로 제출 https://tinydew4.github.io/electron-ko/docs/api/crash-reporter/
[JavaScript] 서버에 있는 이미지 불러오기 다른 서버에 있는 이미지를 이미지 태그(또는 캔버스 등)에 사용하고 싶을 때, 아래와 같이 src에 경로를 입력하면 된다. (입력된 경로는 자동으로 file:// 형식으로 변환되어 입력되어 보여지게 된다.) 하지만, PC에서 서버에 접근은 되지만 위와 같은 경우가 안 되는 경우, 파일을 찾아서 binary로 바꿔준 후 base64로 변환한 값을 src에 입력해 주면 된다. const image = document.getElementById("img"); var src = "//다른서버주소/파일.jpg" if (src.startsWith('\\\\') || src.startsWith('//')) { // 서버 파일인 경우 const Buffer = req..
[JavaScript] TreeView 사용하기 (fancytree) - 4 context menu Electron에서 fancytree를 사용하면서 $.ui.fancytree 로 fanctree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, 찾아낸 또 다른 fancytree 사용 방법을 적어둔 글 이다. 이전 글 : [JavaScript] TreeView 사용하기 (fancytree) - 3 title 줄바꿈 하기 참고 예제 : Example: use 'jquery.contextmenu' 먼저, jquery-ui 와 jquery-ui-contextmenu 를 추가해 준다. jquery-ui는 contextmenu 의 UI를 만들어주며, jquer-ui-contextmenu 는 contextmenu를 만들어 준다. Elec..
[JavaScript] TreeView 사용하기 (fancytree) - 3 title 줄바꿈 하기 노드(node)의 이름(title)들이 줄 바꿈이 안되고 원하는 너비를 넘어가면 Scroll-X 가 생성되어 보여진다. 원래 아래 노드의 이름은 `개구리 - 복사본` 이지만 X축 스크롤이 생기고 화면상 짤려져보인다. X축 스크롤이 아닌, 글자가 자동 줄 바꿈이 되었으면 한다면 두 가지 방법이 있다. 먼저, 가장 간단한 방법은 css 속성을 이용하는 것이다. 방법1. css 속성 사용 span.fancytree-title { white-space: normal; } 방법1이 안 될 경우가 있다. 그러면 두 번째 방법인 rendernode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. 방법2. fancytree 의 rendern..